‘투기에서 투자로’는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가 상장된 미국 증시의 반응을 요약한 말이다. 비트코인이 등장한 것은 2009년 1월 3일, 글로벌 투자은행인 리먼브러더스가 6천억 달러의 부채를 이기지 못하고 파산(2008년 9월), 세계 금융위기가 덮친 직후였다. 당시 개발 그룹이 내건 슬로건이 ‘정부나 중앙은행 통제를 받지 않는 통화’였다.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모든 거래 내용을 모든 거래 참가자 장부에 분산 저장하는 것이 특징이자 장점이다. 개발 초기 비트코인 1만 개로 41달러짜리 피자 두 판을 산 것이 첫 거래다. 비트코인 1개 가치가 겨우 0.0041달러로 평가한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미국 증시에, 비록 ETF 형식이지만 11개 상품에 올 안에 1000억 달러가 몰려들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은 미국 증권거래소 판단에 따른 것이 아니라 소송에서 패배, 선택의 여지가 없었기 때문이다. 캐나다서 2021년에 현물 ETF가 출시된 것도 압박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상장 결정 이후에도 ‘현물 비트코인 상장 지수상품(ETF) 거래 결정이 비트코인을 보증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입장이다. 또 일부에서는 이번 결정이 ‘역사적 실수’라면서 바뀐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아직은 비트코인의 제도권 진입을 달가워하지 않는, 거부감의 무게를 가늠할 수 있는 대목이다.

파생상품으로써 ETF는 ’고위험 고수익‘의 대표 격이다. 금융위원회가 개인의 해외 ETF와 ELS(주가연계증권) 투자에 주의하라고 경고하는 이유다. 잘하면 일확천금이지만 쪽박을 찰 수도 있다는 뜻이다. 기존 ETF가 이 정도라면 투기 대상이었던 비트코인 ETF는 새삼 말할 것도 없다. 또 비트코인에 이어 2위를 달리고 있는 이더리움 상장도 멀지 않다는 관측이 나오기 있으나 반드시 낙관적인 것은 아니다. 적어도 비트코인 ETF가 안정적으로 뿌리를 내릴지를 지켜본 뒤에 결정이 날 것으로 봐야 한다. 또 비트코인은 상한이 결정되어 있어 무한정 채굴이 불가능하다. 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비트코인을 가상화폐로 보지 않고 금이나 은, 구리와 같은 상품으로 평가, 디지털 골드로 보는 이유다. 이더리움은 채굴과 블록체인 기술이 한발 앞서 있는 대신 무한정 채굴이 가능한 점이 새로운 불안요인으로 작용한다.

여기서 주목한 점은 금 ETF 상장 때 이른바 트래킹 에러(tracking error :원자산 가격과의 차이) 최소화에 미증권거래위원회(SEC)가 상당히 고심했다는 사실이다. 거래를 중개하는 마케트 메이커를 적어도 3개사가 관여하도록 안전판을 요구했다. 이번에도 SEC 요구에 따라 현물 비트코인 ETF 구성 때 출자와 상환을 반드시 현금으로 하도록 바꿈으로써 투기 가능성과 함께 ‘중앙은행과 정부 관여를 배제한’ 통화 역할을 최소화했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주목할 점은 비트코인의 기반인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이른바 웹 3(web 3)가 확산 속도를 높이고 있다는 점이다. 비트코인이 중앙은행이나 정부의 관여를 배제한 것이라면, 웹 3은 3세대 인터넷을, DeFi (Decentralize Finance)는 탈중앙화 금융시스템을 말한다. 대체불가능 토큰(NFT)도 이 흐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미국 UCLA서 발신한 ‘로그인 메시지’가 스탠포드대학 연구실 착신에 성공 1969년 10월 29일이 인터넷의 첫걸음이다. 인터넷 1은 일방통행인 데 반해  양방향 통신인 SNS 중심의 지금은 인터넷 2에 해당한다. 그러나 인터넷 2는 이용자의 모든 자료가 구글을 비롯한 대형 포털에 집중되어 영업에 일방적으로, 또 무료로 이용되고 있다. 웹 3는 말하자면 인터넷 3을 DeFi는 금융시스템의 탈중앙화를 의미한다. 모두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것이며 디지털 금융으로 호칭하는 이유다.

이런 움직임에 반해 각국 중앙은행은 디지털 통화 발행으로 맞서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한국은행이 올 4분기쯤 디지털 통화 발행을 언급한 배경이다. 그러나 웹 3의 보급확산과 DeFi가 안정적으로 정착한다면 어떤 형식으로든 중앙은행과 정부 중심 경제활동은 한계를 맞게 마련이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이 양자를 절충한 새로운 형태의 금융시스템 개발에 나설 필요가 있다. 디지털화는 경제뿐만 아니라 문화 전반에 걸친 거스를 수 없는 대변혁이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공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