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카콜라 회장 의 유서

학자요, 정치가요, 목사요, 주한 미국대사(1993-1997)였던 제임스 레이니는 임기를 마치고 귀국하여 에모리 대학의 교수가 되었다. 건강을 위해서 매일 걸어서 출퇴근하던 어느 날 쓸쓸하게 혼자 앉아 있는 노인을 만났다. 레이니 교수는 노인에게 다가가 다정하게 인사를 나누고 말벗이 되어 주었다. 그 후 그는 시간이 날 때마다 노인을 찾아가 잔디를 깎아주거나 커피를 함께 마시면서 2년여 동안 교제를 나누었다. 

그러던 어느 날 출근길에서 노인을 만나지 못하자 그는 노인의 집을 방문하였고 노인이 전날 돌아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곧바로 장례식장을 찾아 조문하면서 그는 노인이 바로 코카콜라 회장을 지낸 분임을 알고는 깜짝 놀랐다. 

그때 한 사람이 다가와 “회장님께서 당신에게 남긴 유서가 있습니다.” 라며 봉투를 건넸다.

"당신은 2년여 동안 내 집 앞을 지나면서 나의 말벗이 되어 준 친구였소. 우리 집 뜰의 잔디도 함께 깎아 주고, 커피도 나누어 마셨던 나의 친구 레이니에게……고마웠어요. 나는 당신에게 25억 달러와 코카콜라 주식 5%를 유산으로 남깁니다.” 

뜻밖의 유산을 받은 레이니 교수는 3가지 점에서 놀랐다. 

첫째는 전 세계적인 부자가 그렇게 검소하게 살았다는 것이고, 둘째는 자신이 코카콜라 회장이었음에도 신분을 밝히지 않았다는 것, 셋째는 아무런 연고도 없는  사람에게 그렇게 큰돈을 주었다는 사실이었다. 레이니 교수는 받은 유산을 에모리 대학 발전기금으로 내놓았다.

그에게는 에모리 대학의 총장이라는 명예가 주어졌다. 

이상은 인터넷에 오래 전부터 떠도는 작자 불명의 ‘코카콜라 회장 의 유서’란 글이다. 이글은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지만 사실과 다른 허구였다.

레이니 교수가 주한미국 대사(1993~1997)란 것은 맞지만 그는 주한 대사가 되기 전 에모리 대학 총장으로 발탁되었다. 코카콜라 재단은 사회 기부 재단으로 유명하며 1조원 이상의 거금을 공익을 위해 기부해온 회사라는 점을 잘 엮어 만든 아름다운 픽션이다.

민영환 시종무관장의 유서

(전략) “바라건대 우리 동포 형제들은 더욱더 분발하고 힘을 써서 그대들의 뜻과 기개를 굳건히 하여 학문에 힘쓰고, 마음으로 단결하고 힘을 합쳐서 우리의 자유 독립을 회복한다면, 죽은 자는 마땅히 저 어두운 저 세상에서 기뻐 웃을 것이다. 오호라, 조금도 실망하지 말지어다. 우리 대한제국의 2000만 동포에게 이별을 고하노라.” (대한매일신보, 1905년 12월 1일)

1905년 재한 제국이 을사늑약으로 일본에게 넘어가자 울분을 참지 못해 동포에게 죽음으로  국권 회복을 위한 궐기를 호소한 ‘육군부장(副長) 시종무관’이던 민영환의 유서이다.

유서는 아니지만 유언을 남기고 간 사람도 있다.

“6.25 전쟁 때 전우들과 함께 싸운 8곳의 흙을 떠다가 내 무덤에 함께 묻어다오.”

‘오늘의 자유대한민국이 있게 했다’고 백악관이 추모한 백선엽 대장의 유언이다. 세계 전사에 남을 승전 기록인 다부동 전투와 낙동강 방어선의 영웅이 전우가 피를 흘린 그 격전지의 흙과 함께 묻히겠다는 절절한 전우애를 밝힌 것이다. 

같은 이별을 고하는 유서지만 이런 유서도 있다.

“모든 분들에게 죄송하다. 내 삶에서 함께 해준 모든 분들에게 감사한다. 오직 고통밖에 주지 못한 가족에게 미안하다.(중략) 모두 안녕.”

산에 올라가 극단적 선택을 한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유서이다. 서울시장으로 8년이나 재직 했음에도 시민을 위한 말은 한마디도 없다.

“너무 많은 사람들에게 신세를 졌다. 나로 말미암아 여러 사람이 받은 고통이 너무 크다. 앞으로 받을 고통도 헤아릴 수가 없다. 여생도 남에게 짐이 될 일밖에 없다. 건강이 좋지 않아서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책을 읽을 수도 글을 쓸 수도 없다. 너무 슬퍼하지 마라. 삶과 죽음이 모두 자연의 한 조각 아니겠는가? 미안해하지 마라. 누구도 원망하지 마라. 운명이다.”(후략)

2009년 5월 언덕에 올라가 극단적 선택을 한 노무현 전 대통령이 남긴 유서이다. 일국의 대통령을 지냈음에도 나라와 국민에 대한 언급은 한마디도 없다.

또 하나, 언론에 노출되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린 유서가 있다.

"노벨평화상 상금 8억 원에 대해서는 김대중 기념사업회에 전액 기부한다." (생략)
2017년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 이희호 여사의 유언장 일부이다. 이 유언장을 근거로 대통령의 두 아들은 재산 싸움을 시작했다.

나라를 위해 막강한 자리에 있던 사람들이 떠나는 모습이 어쩌면 이렇게 다를 수가 있을까.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공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