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H지수는 연초부터 힘없이 하락 손실률 60%..반등 가능성 희박
불완전 판매 의혹에 이어 상품 선정 비리 터지며 내부통제 부실 드러나

[공정뉴스_조나단 기자]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상품의 피해가 3000억원이 넘어섰다. 이 상품 선정하는 업무를 담당한 KB국민은행의 직원이 증권사로부터 골프 접대를 받아 중징계를 받은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고객에게 초고위험 상품인 ELS의 투자 위험성을 제대로 안내하지 않았다는 불완전 판매 의혹에 이어 상품 선정 비리 의혹까지 터지면서 은행권의 내부 통제 부실이 도마에 올랐다.  

29일 최종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H지수 ELS를 가장 많이 판매한 KB국민은행 본점에서 ELS 상품을 선정하는 실무 업무를 맡은 팀장급 B씨는 지난해 ‘청렴 유지 의무 위반’으로 중징계에 해당하는 정직 3개월 징계를 받았다고 밝혔다.

B씨는 2021년 1월부터 작년 6월까지 다수의 증권사 직원과 수차례 식사하고 2년여간 10여 차례 골프 접대를 받은 것으로 내부 감찰 결과 드러났다. KB국민은행은 홍콩 H지수 ELS를 8조 원 판매해 시중은행 중 가장 높은 실적을 올렸다.

KB국민은행 측은 "별도의 금품 수수는 없었다"며  "상품 선정이 시스템화되어 있어 해당 직원이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개인적인 일탈이 확인돼 징계했다"라고만 밝혔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자본시장법 위반 여부 등을 살피는 중”이라고 했다. ELS 같은 고위험 상품의 은행 판매를 재검토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ELS뿐만 아니라 사실 금융투자상품은 다 위험한 것 아니다. 종합적으로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한번 봐서 검토를 하겠다."고 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상품의 유형별 구분, 적절한 판매 경로 등을 다시 한번 점검하고, 제도 개선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금감원은 지난달부터 KB국민·신한·하나·NH농협 등 H지수 연계 ELS 주요 판매사 12곳을 현장 검사하는 중이다.  금감원 현장조사 결과는 2월 중에 나올 전망이다. 하나은행은 29일부터 ELS 판매를 전면 중단한다며 상황 점검 후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홍콩 H지수 연계 ELS손실

1월 들어 홍콩H지수 연계 ELS의 손실은 속속 현실이 되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등 5대 은행이 판 홍콩H지수 연계 ELS는 1월 8~19일 2296억 원 원금 손실을 확정했다. 

8일부터 순차적으로 상품 만기가 도래한 가운데 11일 만에 손실액이 2300억 원에 육박했다.  원금(4353억 원) 대비 손실액을 의미하는 손실률은 52.7%에 달한다.

향후 손실 규모는 더 커질 전망.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5일 기준 홍콩H지수 연계 ELS의 금융권 판매 잔액은 15조9000억 원으로, 이 중 15조4000억 원이 올해 만기를 맞을 예정이기 때문이다. 상반기에만 10조 원(1분기 3조9000억 원, 2분기 6조3000억 원)이 넘는다.

홍콩H지수는 연초부터 힘없이 하락하고 있다.

시중에 판매된 상당수 ELS(녹인형)는 만기까지 지수가 ‘녹인 기준선’(통상 가입 당시 50%) 아래로 한 번도 내려가지 않아야 원금을 보장받는다. 이미 녹인 구간에 진입했다면 만기 시 지수가 ‘최종 상환 기준선’(70%) 이상이어야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지수 하락률만큼 원금 손실을 입는다. 지수 하락에 따라 손실이 점점 늘어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현재 만기를 앞둔 2021년 1월 말 홍콩H지수 연계 ELS 가입분의 경우 지수가 당시 수준(1만1000대)을 한참 밑돌고 있다. 사실상 원금 손실이 확정된 상태.  지수가 4000대로 떨어지면 손실률이 50%대를 넘어 60%대까지 커지게 된다.

증권가는 홍콩H지수의 반등 가능성을 희박하다고 보고 있다. 중국 경기의 하방 압력이 지속되고 있는 탓. 1월 23일 중국 정부가 홍콩 증시에 증시안정기금(증안기금) 2조 위안(약 374조 원)을 투입하며 이날 홍콩H지수가 3%대 상승세를 나타났다. 하지만 ‘일시적’이라는 평가다.

전종규 삼성증권 연구원은 같은 날 “홍콩 증시 패닉 국면은 중국 경기침체 심화, 미진한 정부 정책 우려, 부동산발(發) 부채 리스크 확대가 반영된 결과”라며 “이와 관련한 정부 정책이 미시적 대응에 그치면서 경기 반등과 주가 회복의 탄력이 제한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공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