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경제정책연, 18개국 ESG 평가 한국 11.5점 꼴찌
환경·사회·지배구조 세 역영 최하위 기록...국가적 공시 표준화 필요

이재용 삼성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회장 
이재용 삼성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회장 

ESG(환경_Environmental, 사회_Social, 지배구조_Governance)가 글로벌 경영의 중요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ESG를 고려하는 경제 활동이 강화되고, ESG 관련 보고 및 정보공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한국 기업의 ESG경영은 낙제점이다. 미국·일본·중국 등 17개 선진국과 주요 아시아국에 비해 크게 떨어지며 최하위를 기록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12일 발표한 <국제사회의 이에스지대응과 한국의 과제> 연구보고서에서  ESG평가기관 무디스의 평가를 활용해 산출한 국내 기업의 ESG 점수는 11.5점이다. 18개 선진국과 주요 아시아국 중에서 가장 낮았다. 18개국 평균은 20.7점이다. 한국 기업의 2배 수준이었다. 한국은 일본(16.5점), 중국(17.2점)에 비해서도 크게 떨어졌다.

미국, 인도, 아르헨티나, 캐나다는 최상위권 점수를 보였다. 스위스, 영국, 독일, 덴마크, 노르웨이, 이탈리아, 프랑스 등 유럽 주요 국가들과 오스트레일리아는 평균 또는 평균을 상회하는 점수를 나타냈다.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한국 등 아시아 국가들의 점수는 평균을 밑돌았다. 한국 기업의 환경(E)·사회(S)·지배구조(G) 등 세영역별 점수도 각각 6.5점, 13.3점, 13.3점으로, 선진국과 주요 아시아국 평균인 12.7점, 19.7점, 29.9점에 크게 못미쳤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문진영 연구원은 “한국 기업의 지배구조 점수가 부진하다”면서 “기업의 상장 여부, 재무특성, 산업 등을 고려할 경우 한국 기업과 다른 경쟁국 간의 ESG 점수 차이가 더욱 벌어졌다”고 밝혔다.

ESG 경영을 상대적으로 잘한다고 평가받아 온 국내 주요 상장사와 대기업의 점수도 선진국 및 주요 아시아국에 비해 뒤떨어졌다.

주요국의 ESG 제도와 정책은 △ 기업이나 투자자의 공시제도 △ 투자결정에 ESG 통합 △ 금융상품 관련 제도 △ 지속가능 금융 전략 △ 스튜어드십 코드(Stewardship code) △ 분류체계(Taxonomy) 등이 있다. 

EU와 미국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무 공시 기업을 확대하거나, 공시해야 하는 정보의 범위를 확대 하는 방식으로 ESG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도 ESG 정보나 지속가능보고서에 관한 공시 규정과 공시 지침을 연이어 도입 중이다.

문 연구원은 “국내 기업들의 ESG 점수가 대기업, 중소기업 가릴 것 없이 다른 경쟁국에 비해 낮다”면서 “국제적으로 ESG가 중요한 화두로 부상하는 상황인 만큼 기업들이 국제기준에 부합하게 자발적으로 ESG 리스크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국 대기업들이 말로만 ESG 경영을 강조하고 실제로는 등한시한 ESG위싱이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 저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하고 있다.

국내 기업의 ESG경영 정착을 위해 공시기준의 통합과 표준화의 필요성이 지적됐다. 

ESG 정보 공시에 관한 기업 부담을 경감하고 표준화된 정보 공개 기준을 마련 하기 위해 비재무정보 또는 ESG 정보에 관한 국제 공시기준이 필요하다는 것.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는 다양한 공시기준 및 이니셔티브를 통합 및 보완한 국제표준 제정 작업을 진행 중이다. 해당 표준은 기업의 정보 생산 부담은 낮추고 기업간 ESG 성과 비교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판단했다.

ESG 정보의 품질 개선을 위해 기업은 정확성, 명확성, 비교 가능성, 검증 가능성 등의 원칙을 토대로 정보를 생산ㆍ보고해야 하며, 제도적으로는 표준화 된 정보보고 지침과 정보 검증을 통해 ESG 정보 품질을 제고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개념적 특성과 정량화 가능 여부로 인해 환경(E)이나 지배구조(G)에 비해 사회적 영향(S)에 대한 보편적 합의가 부족한바 지속가능성의 다양한 요소에 대한 균형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

문 연구원은 "국가별 ESG 점수 차이는 기업의 재무적 특성보다도 국가 정책이나 ESG 이해 등 전 국가적인 특성에 기인하고 있다"면서 "정부와 기업 모두 보다 적극적으로 ESG 활동을 제고하기 위한 대외적인 소통과 노력이 필요하다. ESG 활동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사내 자원이 풍부한 상장 대기업보다는 ESG수행 능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정부 차원의 ESG 컨설팅 활동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키워드

#ESG
저작권자 © 공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