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전세자금대출이 64% 차지
2금융권 대출, 다중채무도 급증세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한 가운데, 부채비율 상승폭이 커진 20·30대가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8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연령대별 소득 대비 부채비율(LTI) 전년 대비 상승폭은 20대 이하(23.8%포인트), 30대(23.9%포인트), 40대(13.3%포인트), 50대(6.0%포인트), 60대 이상(-3.2%포인트) 등으로 집계됐다.

신규 차주(대출고객) 중 30대 이하 청년층이 절반 이상으로 전 연령층에서 유일하게 증가세다. 30대 이하 비중은 2017년 49.5%에서 점차 증가해 지난해 9월 58.4%를 차지했다. 이 기간 40대는 14.9%, 50대 13.8%, 60대 이상 12.9%에 그쳤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청년층 대출은 408조원 규모다. 이 중에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173조원, 전세자금대출 88조원으로 주택 관련 대출이 청년층 부채 증가의 64%를 차지한다.

청년층 부채 급증 원인으로 이른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자금 마련)', '빚투(빚내서 투자)' 등 위험자산 투자를 주목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거주를 위한 대출 비중이 절반을 넘는다는 의미다. 

특히 지난해 청년 취업자수는 376만3000명으로 전년 대비 18만3000명 감소했고 생계자금 용도로 주로 활용되는 2금융권 대출은 물론 다중채무도 급증세다. 

지난해 말 20대 카드론 잔액은 1조1000억원으로 전년 9630억원보다 19% 불어났고, 리볼빙 서비스도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인 6.8%를 기록했다.

때문에 금리 인상이 본격화되면 청년층에서 신용불량자가 양산될 수 있다는 우려다. 지난해 6월 기준 개인회생 접수 증가율을 보면 20대 남성·여성은 전년 대비 각 29.8%, 24.7% 증가했다.

백종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정부의 코로나19 대출 만기 연장과 이자상환 유예 조치 종료와 더불어 금리 상승이 본격화될 경우 청년층의 대출 상환능력 악화로 부실이 확산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백 연구원은 "취약 청년층의 부채가 코로나19 이후 경제난 가중에 따른 '부채 돌려막기'로 늘어난 영향이 크기 때문에 비정상적 투기 수요와는 별개의 접근이 필요하다"며 "일방적인 정책서민금융 등 자금지원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중장기적으로 청년층의 자립 기반을 마련해주는 시스템이 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공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