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 김종인 비대위원장.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대위원장.

미래통합당이 장고 끝에 결국 김종인 비상대책위 체제를 선택했다. 21대 총선 이후 당의 진로를 놓고 내홍을 겪던 통합당은 지난 22일 당선자 총회에서 김종인 비대위를 최종 승인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압도적인 찬성이었다”고 밝혔다.  

김 전 위원장도 이날 통합당의 비대위원장 취임 요청을 승낙하고 “최선을 다해서 당을 다시 정상궤도에 올려놓는데 남은 기간 열심히 하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이로써 통합당 비대위 체제는 오는 29일에 열리는 전국위원회와 상임 전국위에서 당헌 부칙 개정 절차만 남았다. 김 전 위원장은 미래한국당과의 합당을 의결하면 103석(84+19)의 통합당을 이끌게 됐다.  

기간은 애초 김 위원장이 요구한 기간에 다소 못 미치는 내년 4월 재보궐선거까지로 했다. 

김종인 비대위 체제는 시작부터 논란의 중심이 됐다. 그를 영입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컸지만, 자강론으로 맞서는 당내 인사도 만만치 않았다. 당권을 노리는 다선 위원을 중심으로 김종인 비토론까지 나돌았고 조기 전당 대회에서 새로운 지도부 선출을 통해 통합당의 난국을 헤쳐나가자는 주장도 힘을 얻었다. 

조경태(5선) 의원과 김태흠(3선) 의원, 조해진(3선) 당선자가 대표적으로 자강론을 설파했다. 반면 주호영 원내대표를 비롯한 초선 그룹에서 김종인 비대위 체제를 대안이 없는 수단이라고 주장하며 당선자들을 설득했다.

특히 주 원내대표는 당선되기 전부터 조기 전당대회보다는 외부 인사에 의한 쇄신에 무게를 두고 있었다. 주 원내대표는 지난 8일 열린 원내대표 선거 정견 발표를 통해 “당의 차기 지도부 구성과 관련해서 8월 이전의 조기 전대냐 비대위냐. 이런 선택이 주어졌을 때 나는 조기 전대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봤다”며 “당의 실제 전대 과정은 분열적 요소가 상당히 많다”고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이어 “8월 목표로 전대를 한다면 21대 국회 전반기를 허비하는 그런 결과가 되기 때문에 조기 전대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비대위라면 관리형 비대위냐 혁신형 비대위냐인데. 9월에는 정기국회에 들어가기 때문에 어느 정도 기간을 가지고 가는 것, 즉 임기를 보장한 혁신형 비대위가 맞다”고 역설했다.

통합당은 오는 29일 전국위원회와 상임 전국위를 열고 당헌 부칙을 개정할 계획이다. 동시에 미래한국당과의 합당을 의결한다. 김 전 위원장은 103석(84+19)의 통합당을 이끌게 됐다.  

내년 4월까지 당을 이끌게 됐지만 김 내정자 앞에 놓인 과제도 적지 않다. 당장 내년 재보궐선거에서 구체적인 성과를 만들어내야 한다. 그리고 당 안팎의 대선주자들의 강한 견제도 방어해야 한다. 김 내정자는 이미 차기 대선과 관련, 홍준표 당선자, 유승민 의원, 안철수 대표 등에 대해 “지난 대선에서 검증이 다 끝났다”며 차기 대선주자로 새로운 40대 경제 전문가를 언급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이번 주면 다시 정치 전면에 나선다. 우선 21대 총선 패배 원인을 찾아 통합당 쇄신의 출발점으로 삼고 젊고 새로운 인물 발굴에도 나서야 한다. 또 총선 기간 동안 제 역할을 하지 못한 여의도연구원의 부활도 신경 써야 한다. 

정책 수정에도 나름 심혈을 기울일 듯싶다. 총선 기간에도 김 전 위원장은 코로나19 사태 같은 미증유 사건에는 창조적 아이디어를 가지고 전향적으로 재정을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동안 통합당이 견지했던 정책과는 결을 달리하는 발언이었다. 한마디로 국민을 위한 정책에는 여야가 따로 없다는 주장이다. 

저작권자 © 공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