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구조·전범기업 관계·병역의무... “지배구조 끝은 일본”
롯데그룹 창업 배경부터 지배구조상 일본과 불가분의 관계
롯데홀딩스→한국롯데 지배구조 변화없이 日기업 딱지 못떼

롯데그룹(LOTEE, ロッテ, 신동빈 회장)이 일본기업 논란에 휩싸였다. 일본의 무역 보복으로 시작된 반일감정이 일본 제품 불매운동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2015년 ‘형제의 난’이 발생할 당시 불거졌던 ‘일본 기업’논란이 재현되고 있다. 불매운동으로까지 번질 태세다. 롯데에 덧씌워진 ‘일본기업 프레임’을 해소하기 위해선 지배구조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인 신격호 회장이 창업은 했지만 지배구조상 ‘일본기업’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한-일 양국에서 셔틀콕이 된 롯데 그룹의 지배구조를 분석한다.

롯데 본사는 일본과 한국에 각각 있다. 일본 롯데는 도쿄도 신주쿠구 나시신주쿠 3가 20번지 1호에, 한국 롯데는 서울 송파구 올림픽대로 300(신천로29) 롯데월드타워에 위치해 있다.

롯데의 지배구조는 광윤사(日)→ 롯데홀딩스(日)→호텔롯데(韓)→롯데계열사로 이어진다. 총수 일가는 광윤사를 통해 롯데홀딩스를 지배하고 있다. 롯데홀딩스의 주요주주는 광윤사(28.2%), 종업원 지주회(27.8%), 관계사(13.9%), 임원 지주회(6.0%)이다. 롯데홀딩스는 일본 계열사와 함께 한국롯데를 통해 주요 계열사를 직접 지배하고 있다.

신동빈 롯데 회장. (사진=뉴시스)
신동빈 롯데 회장. (사진=뉴시스)

 

롯데는 계열사의 30%가 외국인 투자기업이다. 2015년 외투기업은 계열사 81개 중 롯데제과, 롯데케미칼, 롯데손해보험 등 28개사다. 당시 그룹전체 매출 66조7337억 중에 외투기업의 매출이 30조5372억원(46%)을 차지했다. 순이익만 7358억원(43%)였다. 이들 외투기업이 다른 국내 계열사 21개사를 지배했다. 계열사 수로는 60%, 매출액 비중으로는 64%가 직접적으로 일본기업의 지배를 받고 있다.(2014년 기준)

이 같은 롯데의 국적·특혜 논란을 제기했던 국회 정무위 소속 김기준 의원(당시 새정치민주연합)은 “국적, 특혜 논란 해소를 위해선 외투기업의 상장차익을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 2015년 신격호 창업주의 2세인 장남 신동주와 신동빈 간의 ‘형제의 난’이 발생할 당시에도 국적 논란이 제기됐고, 형제의 경영권은 롯데홀딩스의 일본인 주주들에 의해 동생의 승리로 끝났다. 매출의 90%가 한국에서 발생해도 결국 경영권은 일본인 주주들이 좌지우지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후 경영권을 장악한 신동빈 회장은 일본기업 프레임을 벗기 위해 호텔 롯데를 상장시켜 고리를 끊으려고 했으나 지지부진하고 있다.

현재 롯데 계열사는 95개사다. 한국롯데의 지배구조 쟁점에는 롯데지주가 있다. 롯데지주는 롯데제과, 롯데칠성음료, 롯데쇼핑, 롯데하이마트 등 계열사들에 대한 확고한 지배력을 갖고 있다. 여전히 롯데의 지배력은 광윤사→롯데홀딩스→한국으로 이어져 있다. 이 같은 지배구조를 보면 롯데는 일본기업이라는 전문가들의 생각이 지배적이다.

한편, 롯데는 유니클로 한국 법인(49%), 무인양품(40%) 등의 지분을 갖고 있고, 한국 진출하는 일본 기업들의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 전범기업으로 꼽히는 미쓰비시, 미쓰이 등과 손잡고 사업을 벌이면서 배당을 일본으로 보내는 ‘국부유출’ 논란도 일고 있다. 신 회장은 한일 경제전쟁을 불러 일으킨 아베신조 일본 총리와 돈독한 사이로 알려진다. 2015년 11월 28일 도쿄 제국호텔에서 열린 장남 시게미쓰 사토시 결혼식 피로연에 아베총리가 하객으로 참석했다.

신 회장의 개인 신상에 대해서도 비판이 쏟아졌다. 병역기피 의혹이다. 1955년생인 신 회장은 1993년 한국 롯데 경영에 참여했고 병역 연령(38세)가 지난 41세가 되던 1996년 한국 국적을 회복하여 병역의무를 벗어났다. 아들의 병역도 논란이다. 올해 33세이다. 신 회장처럼 병역해제 연령이 지난 뒤 한국 국적을 취득하면 병역의무에서 벗어난다.

롯데가 해묵은 일본기업 논란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노블리스 오블리주 실천과 신동빈 회장의 장남이 병영 해제 연령 전에 국적을 취득하여 병역을 마친다면 ‘일본기업’ 논란서 해방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저작권자 © 공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