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깊은 고민에 빠졌다. 일본 수출규제로 인해 낸드플래시 생산량을 단계적으로 줄이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 것. 낸드플래시는 D램과 달리 전원이 끊겨도 데이터를 보존하는 메모리 반도체다.

지난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올 하반기 낸드플래시 대규모 감산과 관련해 시기와 규모를 저울질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에칭가스(고순도 불화수소) 공급이 일본의 수출 규제로 막히자 영업적자를 내는 낸드 생산부터 줄인다는 전략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가 지난 2분기 낸드 사업에서 3000억원 안팎의 적자를 낸 것으로 추정했다. SK하이닉스는 올 1분기부터 수천억원대 적자를 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4월부터 반도체 업계가 얼어붙었다. 일본 수출규제로 인해서 지금 상황은 엎친데 덮친 격이다”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의 반도체 핵심 소재 수출 규제가 장기화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세계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D램 생산도 위태로워질 수밖에 없다. D램과 낸드플래시를 공급받는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이번 사태를 예의 주시하고 있는 이유다.

얼어붙은 반도체 업계 희망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지난 4월 1분기 실적을 발표할 때 낸드플래시 생산을 줄일 수 있는 길을 열어 놨다.

두 회사 모두 2분기 말부터 반도체 수요가 점진적으로 살아날 것으로 내다봤던 시기다. 생산량을 적극적으로 줄이기보다는 일단 수요가 살아날 때까지 재고를 안고 가는 전략을 택했던 배경이다.

반도체 제조에는 에칭가스(고순도 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감광액),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3개 소재가 필요하다. 사실상 이 소재들이 끊어지면서 당장 공장 가동을 중단해야 할 위기를 맞았다. 에칭가스가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에칭가스는 반도체 웨이퍼의 불필요한 부분을 깎아내는 식각과 불순물을 세척하는 세정 작업에 사용된다. D램, 낸드플래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등 거의 모든 반도체 제조 공정에 필수적이다.

낸드플래시부터 감산을 검토하는 것은 공장을 돌릴수록 적자가 나기 때문이다. 시장 조사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지난해 1분기 0.3달러 수준에 거래되던 1기가바이트(GB)급 낸드플래시 평균 거래가는 올 1분기 0.152달러로 반토막 수준까지 떨어졌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1GB 낸드플래시 제조 원가(0.155~0.166달러)보다 낮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지난 2분기 낸드 사업에서만 수백억~수천억원의 영업 적자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외국 경쟁사...상황 달라

반도체 업계에선 세계 1위 낸드플래시 제조업체인 삼성전자가 감산 시기와 물량을 저울질하고 있는 것을 예사롭지 않게 보고 있다. 2008~2009년 반도체업계에서 마지막 ‘치킨게임’이 벌어질 당시에도 생산을 인위적으로 줄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감산에 들어갈 경우 세계 낸드플래시 거래 가격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지난해 기준 삼성전자(38.5%)와 SK하이닉스(11%)의 낸드플래시 시장 점유율은 50%에 육박한다. 여기에 미국 마이크론이 지난달 웨이퍼 투입 기준 감산 규모를 전년 동기 대비 5%에서 10%로 확대했다.

일본의 수출 규제가 길어지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D램까지 감산할 경우 시장에 미치는 충격파는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기준 삼성전자(42.8%)와 SK하이닉스(29.6%)의 D램 시장 점유율은 72.4%에 달한다.

저작권자 © 공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