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자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성장을 위해 각국에서 유능한 인력들을 빼가고 있어, 국내를 비롯한 관련업계 전반에 빨간등이 켜졌다.

최근 세계 1위 배터리 업체인 중국 CATL은 국내 배터리 업체 전문 인력들에 기존 연봉의 3배 이상을 부르며 공격적으로 영입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관련 업계 기업들을 비롯해 헤드 헌터들의 시선을 집중시켰다. 

한 업계 전문가는 "최근 부장급 이상 직원에게 연봉 3억원 이상을 제시하고 있는 헤드 헌터들이 많아졌다"며 "숙련도와 연차에 따라 연봉이 기하급수적으로 더 높아지는 경우도 있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 배터리 업계의 부장급 직원 연봉은 통상 1억원 수준이다.

중국의 CATL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한 거대 기업으로, 올해 1∼5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CATL은 시장 점유율 25.4%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LG화학(4위), 삼성SDI(7위), SK이노베이션(9위) 등 국내 배터리 3사의 합계 점유율은 15.8%였다.

최근에는 독일공장 투자를 7배 이상 늘리는 등 공격적인 투자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사실 중국의 인력 빼가기 시도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중국을 비롯해 해외의 대형 기업들은 기존 연봉의 2배 이상부터 최대 10배를 제시하면서 해외 유수업체들의 중요 기술자 및 관계자들을 모집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말엔 삼성SDI 전무가 애플의 배터리 개발 부문 글로벌 대표로 이직하면서 국내 업계의 파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잇따른 인력 유출에 업계에서도 자성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전문인력의 양성에 더해 기술 보호와 엔지니어 처우 개선 등이 복합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중국 업체에서  CCTV도 달아놓는 등 감시가 심해 엔지니어들 사이에서 거부감이 있지만 연봉 등 대우는 좋아 이직하는 사례도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아직 인력이 대거 이탈하지는 않고 있지만 회사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모양새"라고 덧붙였다.

이어 "전기차 배터리는 아직 성장 단계로 전문인력풀이 적기 때문에 초기 반도체 시장과 마찬가지로 인력 쟁탈전이 치열하다"며 "한국 배터리 기술은 중국보다 최소 2~3년 앞서고 있다. 인력 및 기술 유출을 막을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공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