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어나는 백두산 화산 어떻게 할 것인가’ 국회 토론회 열려

백두산 천지를 중심으로 화산지진과 지각변형 등 심각한 화산 분화 징후가 포착됐다는 국내외 화산전문가들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하 연구원)은 15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더불어민주당 심재권, 이상민 의원 주최로 열린 ‘깨어나는 백두산 화산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지강현 한국지질지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교수는 “장백산화산관측소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안정기에는 한 달 평균 7건이던 지진 발생 수가 2002년~2005년에는 평균 72건으로 증가했다”며 “이 시기에 지진 크기도 커졌고 백두산 자체도 더 부풀어올랐다”고 설명했다. 2002년에서 2005년 사이 백두산 천지 주변에선 화산 지진이 3천여회 이상 발생했다는 것이다.

지 교수에 따르면 서기 946년 천지에서 발생한 ‘밀레니엄 대분화’는 남한 전체를 1m나 덮을 수 있는 양의 분출물을 쏟아 냈으며 이는 과거 1만년 이래 지구상에서 가장 큰 규모의 분화 사건에 속한다.

백두산은 지하에 거대한 마그마의 존재가 확인된 매우 위험한 활화산이다. 지난 946년 폭발의 100분의 1 정도 수준으로만 다시 폭발해도 북한 인구의 10%가 넘는 300만 명이 직접적인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윤수 포항공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백두산의 과거 분화는 2010년 아이슬란드 화산 분화량의 1000배 이상 규모였다”고 분석했다.

윤성효 부산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도 “백두산이 가까운 장래에 분화한다면 대홍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도로, 댐, 전기 등이 마비되는 등 악순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오창환 전북대 지구환경과학 교수는 “인도적 차원에서 백두산 남북 공동연구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신뢰성 높은 백두산 화산 분화의 예측을 위해 남북공동연구가 선행된 화산 감시 시스템 구축 및 운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상민 의원은 “백두산 남북 과학기술 협력연구의 조속한 추진을 위해 국회와 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방안을 적극적으로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공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