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금 대출 이자수익 34% 증가... “이자놀이로 늘었다” 비판
수수료 없는 비대면계좌 신용이자, 영업점보다 3%p 비싼 12% 달해

증권사들이 개인 투자자들에게 주식투자금을 대출해 주고 거둬들인 이자수익이 지난해 34% 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대면 계좌 고객들에게 비싼 이자를 물리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인건비 부담이 없는 비대면 계좌 고객을 ‘수수료 0원’ 정책으로 모집하면서, 대신 높은 이자로 수익을 내 ‘조삼모사’식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것이다.

늘어난 증권사 이자수익
27일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증권사 30곳의 신용거래융자 이자 수익은 8485억원으로 2017년의 6332억원에 비해 34.0%나 늘었다. 또한 중소형 증권사 4곳을 제외하고 나머지 26곳은 신용거래융자 이자수익이 증가했다.

(자료=금융투자협회)
(자료=금융투자협회)

증권사별로는 미래에셋대우가 1474억원으로 가장 많은 이자수익을 봤다. 이어 키움증권(1171억원), NH투자증권(822억원), 한국투자증권(818억원), 삼성증권(818억원), KB증권(657억원), 유안타증권(447억원), 하나금융투자(320억원), 대신증권(312억원), 유진투자증권(246억원) 등 순이었다.

지난해 증시는 2041.04에 마감해, 2467.49이던 2017년 말에 비해 426.45포인트(17.28%) 하락했다. 작년 증시가 부진했음에도 증권사들의 이자 수익이 늘어난 것이다.

이에 대해 증권사들이 비대면 계좌 개설 고객들의 신용이자율을 영업점 대면계좌 보다 많게는 4%p나 올리기 때문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최고 12%에 달하는 이자를 물리고 있는 것이다. 기존 HTS 거래보다도 비싼 비용을 내고 있다는 얘기다.

비용절감 이익에도 이자놀이
지난 2016년 도입된 증권사 비대면 계좌는 집에서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는 편리함과 주식거래 수수료를 물리지 않는 점 때문에 투자자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증권사 입장에서도 영업점 인력을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 증권사 신규계좌에서 비대면 계좌는 70% 가량을 차지한다. 전체 계좌에서도 30% 수준이다. 미래에셋대우는 지난해 신규계좌 약 57만3000개 중 비대면이 39만7000개 가량으로 69.3%에 달했다. NH투자증권은 누적 비대면 계좌 29만여개, 고객자산 9조300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증권사들이 비용 절감이라는 이익을 보고 있음에도 수익을 얻기 위해 비대면 계좌에 과도한 이자를 물리고 있는 것이다.

하나금융투자는 업계 최고인 12%의 이자율을 비대면에 적용한다. 같은 등급의 영업점 계좌와 비교하면 3%p가 높다. 대신증권의 경우 30~59일 기간의 신용거래 이자율은 1그룹 기준 영업점이 7%이지만 비대면계좌는 무려 4%p 높은 11%까지 적용된다.

미래에셋대우의 경우 다이아몬드등급 고객 기준 영업점 금리는 6~7.2%인데 반해 비대면은 모두 9%다. 한국투자증권도 2.25%p 가량 높다. 삼성증권, KB증권, NH투자증권 등도 영업점과 비대면계좌 이자율 차이가 1.5%p 가량으로 나타났다. 주식 신용거래를 많이 하는 고객들일수록 오히려 비대면이 불리한 것이다.

증권사 이자율은 2%대 초반의 조달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해 4%대 초반으로 알려져 있다. 이보다 많게는 3배까지 높여 사실상 ‘이자놀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금감원 개입할까
이에 대해 증권사들은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증권업계에서는 “비대면 계좌도 서버시스템 운영비나 마케팅 비용이 들어가지 않나”며 볼멘 소리가 나온다.

하지만 2016년 증권사 비대면 계좌제도 도입 당시 업계에서 “은행에 주던 계좌개설 위탁 수수료를 절감했다”며 환영의 목소리가 나온 것과 비교하면 모순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대해 투자자들은 “주식이라는 담보가 있는 대출에 저축은행급 이자율을 적용해 ‘이자놀이’ 하는 것은 말도 안된다”며 성토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시장에서 자율적으로 정하는 이자라도 너무하다”며 금감원이 나서야 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금융투자업 규정을 보면증권사가 제공할 수 있는 신용공여 한도와 이자율, 대출기간 등은 자율적 사항으로 규제에서 빠져 있다. 이에 대해 금융감독원 측이 어떻게 대응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공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