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공항 확장은 미봉책.

부산시민은 부산의 오랜 숙원사업인 동남권 신공항 건설의 꿈을 접을 수 없다.

김해공항 확장안은 미봉책일 뿐이며 안전과 절차에 심각한 문제점을 드러냈는데도 정치논리에 의해 결정 되었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김해공항을 확장 하더라도 24시간 운영이 불가능하고 소음과 안전에 문제가 많음은 사실이다.

2002년 4월 중국 민항기 돗대산 충돌 사고로 129명의 사망자를 낸 끔직한 사고를 격은 부산시민들은소음과 안전은 물론 24시간 운영이 가능한 가덕도에 명실상부한 신국제공항을  건설하여 동북아 해양수도 기능은 물론 한반도 전체 물류허브 역할도 할것을 기대하고 있다.

현재 김해공항은 국내선 위주로, 확장이 이루어져도 중.단거리 위주로 미국과 유럽 등 중.장거리 이용에 한계가 있다고 보고 있다. 최근 3년간 김해공항의 여객 증가속도가 국제선의 경우 평균 20%를 상회, 2025년이면 2천800만 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되어 신공항 이용객을 3천800만 명으로 봤을때 김해공항 확장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부산시는 1990년대 초부터 도시기본계획과 광역개발계획 등을 통해 소음과 안전문제를 확보한 24시간 운영 가능한 동남권 신공항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했다.

2003년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에게 신공항 건설을 건의, 그해 12월 대통령의 신공항 건설을 지시한 이후 본격 검토가 시작됐다. 그 때만해도 밀양 등 어떤 지역도 신공항을 생각지도 못하다가 느닷없이 대구.경북과 밀양이 신공항 유치에 뛰어들었고 2013년 5개 시.도가 항공수요 조사를 합의하는 과정에서 동남권 신공항이 영남권 신공항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지난 8월 29일 동남권 신공항 추진 부.울.경 TF와 국토부의 실무회의에 참석한 김정호 의원에 따르면 김해공항은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상 군사공항인데도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군 당국과 사전협의를 하지 않은 사실을 국토부가 인정했다고 밝혔다.

또 안전문제의 가장 중요 요소인 진입 표면 장애물 절취와 제거에 대해 항공법(현 공항시설법)을 적용하지 않은 점도 확인됐다 면서 용역을 맡은 파리공항공단 엔지니어링(ADPI)이 환경영향평가 때 소음피해 부분에 대해 현장조사를 하지 않은 것도 인정했다고 덧붙였다. 이것은 정부(국토교통부)가 진행한 김해신공항 용역이 부실로 드러난 것이다.

동남권 신공항을 가덕도에 건설하여 한반도 관문공항으로의 역할을 부산시민은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공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