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엘리엇 각개공격, 삼성 3대 세습 경영 위기
-이병철-이건희-이재용 3대 세습 경영 정경유착 점철
-文정부 적폐와의 전쟁 ‘삼성물산-제일모직합병’이 타깃

 

한국은 삼성공화국이다. 이병철이건희이재용으로 3대 세습이 이어지고 있다. 정치, 경제, 노동, 문화, 취업, 인사 등 한국 사회 전반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삼성공화국을 만든 가장 큰 원동력은 이병철-박정희(삼분폭리·사카린밀수)이건희-노태우(비자금·조세포탈)박근혜-이재용(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최순실,장유라 지원)으로 이어진 정격유착이다. 문재인 정부가 적폐와의 전쟁을 펼치고 있다. 정경유착과 부정부패의 고리로 국가를 병들게 한 삼성이 적폐 타깃이 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삼성그룹이 위기다.

이재용 부회장의 경영안착이 쉽지 않다. 이 부회장이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과 관련된 삼성물산 합병과 관련된 사건으로 재판을 받고 있기 때문.

최근 이 부회장이 해외 순방중인 문재인 대통령을 인도 삼성공장 준공식에서 만났지만, 관계 개선까지는 요원하다는 지적이다.

문 정부는 강도 높은 재벌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2년차를 맞아 경제노동 정책이 친 기업으로 균형추를 옮기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개혁후퇴라며 지지층에서 분화 조짐까지 나타났다. ‘삼성 저격수인 참여연대 출신 장하성·김상조가 문 대통령의 경제 투톱으로 자리하고 있는 점도 삼성에겐 위협이 되고 있다.

이재용 부회장이 경영권 승계를 안착시키기 위해선 ?무죄판결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문제?이건희 회장 사후 상속세?이부진·이서현과 계열분리 등의 숙제를 풀어야 한다.

암초가 많다. 검찰·국세청 등 사정기관의 감시가 강화됐다. 국민연금이 계열사 부당지원, 오너비리에 대한 주주권을 강화하는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된다.

여기다 거세치는 해외 투기자본의 경영권 간섭도 난관이다. 삼성전자 등 삼성 계열사에 대한 외국인 지분율이 높다. 투기자본의 경영간섭을 막기 위해서는 자사주를 늘려 지배력을 강화하는 것인데 쉽지 않다. 비용과 시간이 문제다. 무엇보다 이건희 회장의 사후 천문학적인 상속세도 이 부회장의 지배력을 악화시키는데 한 몫을 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런 이유에서 이부회장 등의 지배력 강화를 위해 삼성물산-제일모직의 합병을 했다.

현재 -최 국정농단과 맞물려 재판을 받고 있다. 지난 411일 비선실세 최순실의 항소심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직접 삼성합병을 요구했다는 문건이 나왔다. 이 부회장은 “(합병을)이번엔 성사시켜야 한다. 플랜비에 대해서 묻는다면 플랜비는 없다고 답하겠다꼭 성사시켜야 한다고 했다.

최근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가 한국 정부를 상대로 8천억 원대 투자자-국가 간 소송인 ISD를 제기한 것도 삼성으로선 악제다.

엘리엇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을 승인하는 과정에서 한국 정부의 부당한 조치로 최소 77000만 달러(한화 8654억원)의 피해를 봤다며 중재신청서를 접수했다.

참여연대는 2015년 삼성그룹의 순환 출자 고리의 정점에 있는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은 삼성물산 지분이 없는 이 부회장이 합병을 통해 삼성물산 지분을 갖게 해 경영권 장악한 행위라는 분석이다. 이 부회장의 지분율을 높이기 위해 제일모직의 가치가 높아야 했다. 제일모직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와 그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의 가치를 한껏 부풀렸다는 것이다. 자회사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삼성바이오가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설립하면서 같이 투자한 바이오젠에게 주식을 싸게 살 수 있는 콜옵션(주식매수청구권)을 주고 공시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정부의 입장은 곤란하다. 이 부회장과 박 전 대통령의 부적절한 청탁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엘리엇이 제기한 손해배상을 해야 한다. 반대로 이-박의 청탁 관계가 사실이 아니라는 판단이 내려질 경우 삼성과의 유착관계 의심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에 최대 수혜자는 이 부회장 남매이다. 반대로 손실을 본 것은 국민연금을 비롯한 삼성물산 주주들이다. 엘리엇도 손해를 본 삼성물산 주주 중 한명이다.

엘리엇의 한국정부 공격의 최종 타깃은 삼성이다. 엘리엇의 공격을 받은 문재인 정부가 어떤 스탠스를 취하느냐에 향후 기업정책에 대한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는 게 재계 일각의 시각이다. 이재용의 경영권 승계가 향후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질 지도 관심사이다.

저작권자 © 공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