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보수명예직 불구 매달 1850만원 챙겨

김명환(예해 중장·24대 해병대사령관)자유총연맹 회장의 리더십이 위기다.

한국자유총연맹은 15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한 국내 최대 보수단체이다. 청렴과 도덕성이 근본인 보수단체의 수장인 김 회장의 지나친 욕심이 화근이다. 자유총연맹은 정부지원을 받는 비영리관변단체라서 무보수 명예직인데도 매월 550만원의 활동비를, 계열사인 한전산업개발(주)로부터 매달 1000만원의 활동비를 지급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다 공공기관장은 특정기업의 사외이사를 취임할 수 없는 규정을 어기고 얼마 전까지 한국가스공사의 사외이사를 겸임해 300만원의 직무수당을 챙긴 것이다. 정치권과 보수단체들까지 나서 김 총재를 “더 이상 보수의 얼굴에 먹칠하지 말고 물러나야 한다”고 강하게 질타한다. 자유총연맹에 불고 있는 자유의 바람에 대해 알아본다.

“자유총연맹은 정부지원을 받는 비영리 관변단체다. 총재(회장)은 무보수 명예직이다. 김명환 회장은 자유총연맹에서 550만원의 활동비를 받고, 한전산업개발에서 1,000만원의 활동비를 받아가고 있다”

5일 한전산업개발 노조가 폭로한 내용이다. 한전산업개발의 대주주는 자유총연맹이다. 자유총연맹은 150만명 회원을 둔 국내 최대 보수단체이다. 이곳이 수장인 김 회장은 무보수 명예직인데도 불구하고 자유총연맹과 한전산업개발에서 각각 550만원과 1,000만원의 활동비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자유총연맹의 정관 규정에 따르면, 자유총연맹 회장은 무보수 비상근 명예직이다. 매월 활동비를 받을 수 없다. 김 회장은 규정을 어기고 매월 활동비를 받아 온 것.

회장의 무보수 명예직 논란은 지난 2013년에 제기됐다.

당시 자유총연맹의 감독기관인 안전행정부가 감사를 실시했다. 박창달 전 회장도 한전산업개발로부터 일정보수를 받은 것이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시정명령을 내렸다. 회장이 매월 급여성격의 활동비를 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 명백하게 밝혀졌다.

후임 김 회장에겐 안전행정부의 시정명령 따윈 중요하지 않았다. 자유총연맹과 한전산업개발로부터 매월 550만원과 1,000만원을 챙긴 것이다. 김 회장과 같은 기타 비상무 이사를 맡은 이호평 전 한전전력구입처장은 일체 활동비가 지급되지 않고 있다. 이것만 봐도 김 회장이 부당하게 활동비를 챙긴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이뿐 아니다. 김 회장은 지난 2011년 3월 한국가스공사 사회이사직을 맡았다. 지난해 8월 한국자유총연맹 회장에 취임한 이후에도 사외이사직을 반납하지 않았다. 오히려 임기가 지났음에도 “후임자가 정해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자리를 유지하다가 지난 4월에야 물러났다.

한국가스공사는 사외이사에게 매월 3000만원을 직무수당 명목으로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 회장은 최근까지 자유총연맹(550만원), 한전산업개발(1,000만원), 한국가스공사(300만원)등 총 1,0850만원을 지급받은 것이다. 이밖에 자유총연맹은 김 회장의 부인이 운영하는 꽃가게에서 화환, 화분 등을 구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것은 한마디로 +a에 수익인 셈이다.

한전산업개발 부실책임론

한전산업개발 부실의 책임이 대주주인 자유총연맹의 낙하산 인사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한전산업개발 노조는 “대표이사는 물론 감사, 관리본부장 등이 정권 실세가 자유총연맹을 통해 내려 보낸 낙하산 인사로 채워졌다”고 비판했다.

이삼선 한전산업개발 대표는 이한동 전 국무총리 비서관 출신이다.

윤기영 감사는 자유총연맹 부총재로 새누리당 중앙위원회 고문을 맡았다. 윤 감사의 감사선임에 의혹이 많다. 윗선 개입설이다. 윤 감사는 윗선에 한전산업개발 사장을 요구했던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삼선 사장에 밀려 감사로 오게 됐다는 게 업계의 소문이다. 하지만 윤 감사의 선임으로 한전산업개발은 이중 손실을 본다. 임기가 남았던 원성수 감사에게 임기보장을 약속하며 고문으로 자리를 옮기게 했다.

윤 감사가 올해 79세의 노인으로 감사 경험이 전무 하다. 게다가 한전산업개발과 사업상 경쟁관계가 있는 상의군경회 검침사업본부의 본부장 출신이다. 상의군경회 검침사업은 대명사업인 관계로 정보가 빠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마저 제기된다.

이밖에 원성수 전 한전산업개발 감사와 육상윤 전 발전본부장도 각각 매월 470만원과 400만원의 고문료를 챙겨가고 있다.

또한 박창달 전 자유총연맹 회장은 지난해 9월 한전산업개발 고문으로 위축돼 지난 5월까지 월 650만원의 고문료를 챙겨갔다.

노조 측은  “경영 정상화를 위해 한 푼이라도 아껴야 하는 상황에서 특별한 활동도 하지 않는 기타비상무이사와 고문에게 연간 3억240만원을 지급하는 것을 납득할 수 없다”고 했다.

이어 “우리 사회는 세월호 참사에서 곪을 대로 곪은 공공기관 낙하산의 폐해를 뼈저리게 경험했다"며 "공공기관도 아닌 이미 민영화한 한전산업개발까지 낙하산 인사로 뒤덮어 부실을 키우는 것을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한전산업개발은 활동비와 고문료 지급에 대해 “비상근 이사들에게 이사회 직무수행에 필요한 소정의 활동비를 지급하고 있다. 이는 회사의 사업활동과 관련한 경영지원 및 책임에 필요한 활동경비를 지원하는 차원이다. 기타비 상무이사인 한국자유총연맹 회장에 대한 지급액이 과다하다는 판단에 따라 여타 사외이사와 유사한 수준인 월300만원으로 이미 하향조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고문료의 경우 퇴직 임원 중 일부에 대하여 고문계약을 체결후 월정액을 지급하는 금원이다. 이러한 고문계약은 퇴직임원의 경력 및 영향력 등을 회사의 사업 활동에 활용하고자 하는 차원으로 다수의 상장회사에서도 일반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제도이다. 특정인에 국한한 것은 아니다.”고 했다.

한편, 지난해 3월 한국자유총연맹은 국가로부터 받은 보조금 불법 사용과 공금 수천만 원을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고 비자금까지 조성한 혐의로 경찰청 특수수사과에서 자유총연맹 전·현직 임직원 10명이 조사를 받아 내부징계를 받았다. 이들 중 혐의가 무거운 3명에 대해서는 검찰에 송치됐다.


한전산업개발 노조, 전·현직 경영진 고발 ‘내막’
 
한전산업개발노조(신민식 위원장)가 김명환 자유총연맹 회장을 비롯한 한전산업개발의 전·현직 경영진 10명을 배임 혐의로 5일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노조는 소장을 통해 “전·현직 경영진 10명은 한진산업개발의 채권을 자회사인 한산산업개발(홍기표 대표)에 양도하는 과정에서 실제보다 현저히 낮은 가격으로 양도해 손실을 끼쳤다. 한산산업개발은 이를 양수받은 후에도 대금지급 약정을 이행하지 않아 한전산업개발에 손해를 입혔다. 또한 철광산 투자순위를 조작한 후 양양철광산에 투자해 수억원의 손해를 보게 했다”고 밝혔다.

노조는 전·현직 경영진의 부실한 경영과 투자로 642억원의 손실로 기업을 위기로 내몰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의 입장은 다르다.

회사 측은 “회계법인 한주로부터 경영진단을 받은 결과, 출자회사에 투자된 371억원과 연대보증 271억원에 상당부분 기회수가 됐다. 나머지도 곧 회수될 예정이다. 인수부동산도 공시지가 기준 100억원 이상 평가되고 있다. 노조의 642억원 투자손실은 잘못된 정보”라고 지적했다.

한전산업개발은 2003년 민영화이후, 검침시장 축소와 경쟁체제도입 등에 따라 사업다각화를 위한 다양한 신규 투자사업을 전개해 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과거 경영진의 경영판단 오류, 시행착오 등으로 일부 투자손실을 초래했다. 하지만 신임 경영진의 결단으로 자회사 매각, 자산양수도 등을 통해 정상화 조치를 하나씩 밟아나가고 있다.

회사관계자는 “과거의 부실을 과감히 털어내고 새도약을 준비하는 중차대한 시점에 사실을 왜곡하고 허위 주장하는 것도 모자라 신임 경영진이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다”며 “명예와 의지를 훼손하는 노동조합의 저의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공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